미국의 전기차 브랜드 테슬라 모델3 연식별 변경 사항 총 정리 포스팅 입니다.
최초 출시에서부터 최근 등장한 하이랜드 까지 모두 정리 된 글로 확인하세요!
이 글은 대한민국에 출시 된 테슬라 모델3 차량에 대한 연식별 변경 사항만 정리해두었습니다.

테슬라 모델3 개요
테슬라 모델3 는 미국의 전기차 브랜드 테슬라의 준중형~중형 세단 차량 입니다. 해외에선 럭셔리 D세그먼트로 분리 되고 있습니다.
2016년 3월 31일에 차량이 공개 되었고, 2017년 7월 28일에 공식 출시 하였습니다.
한국에는 2019년 8월 13일 정식 오픈 하여 구매가 가능해졌습니다.
같은 클래스의 차량으로는 제네시스 G70, BMW 3시리즈, 벤츠 c클래스, 아우디 a4 등이 있습니다.
동일한 전기차 차량 중 같은 세그먼트의 차량은 bmw i4, 포드 머스탱e 꼽을 수 있습니다. (자주 비교 되는 대상이기도 하지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옵션
현재 한국에서 구매 가능한 기능만 기록해두었습니다.
1) EAP (향상된 오토파일럿)
기본적인 오토파일럿 기능은 모든 테슬라 차량에 포함 되어 있습니다.
향상 된 오토파일럿은 아래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잠금 해제 합니다.
NOA(네비게이션 온 오토파일럿) : 네비게이션 목적지를 설정 하면 고속도로&고속화 도로에서 자동 차선 변경, 나들목 진출입 등 자율 주행 기능
서먼 (호출) : 차량이 주차 상태일 경우 키팝 또는 핸드폰을 이용 하여 차량을 앞 뒤로 이동 시킬 수 있음
스마트 서먼 (스마트 호출) : 오너 또는 특징 목적지로 차량을 움직일 수 있음
자동 주차 : 주차 구역 감지시 차량이 자동으로 주차함
PP 주차 : 오너 하차시 차량을 자동으로 앞 또는 뒤로 이동 시킴
* 현재 uss가 삭제 된 차량들의 경우 서먼과 자동 주차가 작동 되지 않습니다. 구매시 유의 바랍니다.
2) FSD (완전 자율 주행 가능 기능)
현재 한국에서는 아무 쓸모 없는 기능 입니다.
앞서 설명 드린 EAP 기능을 제공 하며 추후 자율 주행이 완성 될 경우 해당 가격에 자율 주행 기능을 적용 해주겠다는 약속을 사는 업그레이드 입니다.
3) 뒷좌석 열선 잠금 해제
모델3 리리프레시 이전 차량의 경우 스탠다드 레인지 플러스 에서는 뒷자리 열선 기능이 사용불가 합니다.
해당 기능 구매시 열선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다만 일반적인 방법을 통해서는 불가능 하며, 리퍼럴 코드를 통한 차량 추천 구매시 생기는 리퍼럴로 구매가 가능 합니다.
4) 롱레인지 차량 가속력 향상
롱레인지 차량의 가속력을 0.5초 향상 시키는 업그레이드 입니다.
구매시 제로백이 3.9초로 상승 합니다.
현재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한국에서 구매가 불가능 하며, 간혹 테슬라 인증 중고차에 해당 옵션이 활성화 되어 판매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1. 구형 모델3 (2017~2020)

일명 한국내에선 구형 모델3 라고 불리는 차종 입니다.
특징으로는 히트펌프가 없고 78kwh 배터리가 장착 되어 있습니다. (롱레인지 기준)
현재의 모델과 내외관 디자인은 차이가 있지만 그 외에 대부분의 기능은 현행 모델과 같습니다.
주행거리는 롱레인지 신차 기준 505km 입니다. (차량내 모니터 표시)
1) 마이너 업데이트 (2020년 중순)
2020년 중순 (9월 인도분) 부터 마이너한 실내 업데이트가 이루어졌습니다
메인 모니터 하단에 휴대폰 무선 충전기 2구가 추가 되었으며, 실내 룸미러 디밍 기능이 추가 되었습니다.
같은 20년 9월 인도 차량이라고 할지라도 어떤 차량에는 장착 되어 있지 않으므로 중고차량 구매시 유의가 필요 합니다.
추가로 스탠다드 플러스 레인지 차량의 경우 20년 초반에는 퍼포먼스 후륜모터가 탑재 되어 제로백 4.7초의 성능을 자랑했으나 20년 중순 이후로는 롱레인지 후륜모터로 변경 되어 제로백이 5.1초로 늘어났습니다.
또한 리어 우퍼 스피커가 케이블만 연결 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양산 되었으나 이후로는 스피커 자체가 삭제 되었습니다.
* 모델3 20년식 차량 구매 유의 사항
히트펌프 없음, 무선 충전기 없음, 실내 디자인 다름, 매트릭스 라이트 없음, 배터리 용량
히트펌프가 없으므로 겨울철 주행거리의 차이가 큽니다.
* 차량 구매에 대한 평가
24년도 기준 가격적인 메리트만 있다면 충분히 구매할만한 차량 (현행 모델과 기능 차이 거의 없음)
다만 겨울철 주행거리는 현행 RWD 모델보다 짧습니다.
2. 모델3 리프레시 (2021.03)

모델3 리프 라고 불리는 차량 입니다.
기능적인 특징으로는 히트펌프가 장착 되었고 매트릭스 LED 라이트가 장착 된 점도 눈에 띕니다.
또한 파워 트렁크가 장착 되었습니다. (현재는 구형 차량도 레트로핏을 통해 장착 가능)
익스테리어 변화로는 크롬 장식이 삭제 되었고, 후면 유리 열선의 형상이 변경 되었습니다.
또한 18,19,20인치 모든 휠의 디자인이 변경 되었습니다.
인테리어는 센터콘솔의 디자인이 세련되게 변경 되었으며 이제 모든 차량에 무선 충전기 2구와 룸미러 디밍 기능이 탑재 됩니다.
추가적으로 모터 효율의 향상으로 가속력이 약간 항상 되었습니다.
주행거리는 롱레인지 신차 기준 568km 입니다.
* 모델3 리프레시 차량 구매 유의 사항
핸들 열선 없음, 실내 도어트림 20년식과 같음, 도어포켓 라이트 없음
* 차량 구매에 대한 평가
리리프 차량에 비해 배터리용량이 작고 핸들열선이 없으나, 원가절감이 적은 도어트림과 불량률이 적은 배터리가 탑재 되어 가격이 괜찮다면 리리프만큼 가치가 있습니다.
3. 모델3 리리프레시 (2021.06~2022.03)
한국내에선 모델3 리리프 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기능적인 특징으로는 핸들열선이 탑재 되었습니다. 또한 배터리 용량이 롱레인지 기준 78kwh 에서 82kwh로 향상 되어 주행거리가 늘어났습니다.
익스테리어의 변화는 없으며, 인테리어에서는 도어트림까지 확장 된 우드 장식이 추가 되었고, 도어 포켓에 엠비언트 라이트가 생겼습니다.
다만 기존 까지는 도어 트림 전체가 가죽이었으나, 리리프 부터는 플라스틱이 사용 되어 도리어 원가절감이 생겼습니다.
다만 퍼포먼스 차량과 스탠다드 플러스의 경우 도어트림이 리프레시 차량과 동일한 구형 트림이 사용 되니 유의하세요.
주행거리는 롱레인지 신차 기준 585km 입니다. (차량내 모니터 기준)
* 모델3 리리프레시 차량 구매 유의 사항
차량 MCU 칩셋이 아톰cpu이기 때문에 최신 차량에 비해 미디어 성능이 느립니다. 82kwh 배터리의 경우 최근 불량이 잦아 배터리 전체 교환 사례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 차량 구매에 대한 평가
차량 미디어 기능을 자주 사용하지 않는 분들에게는 현행 차량과 비교해도 꿀릴게 없는 최고의 가성비 년식 입니다.
4. 모델3 라이젠 (2022.06 ~ 2023.12)
한국 내에서는 모델3 라이젠 이라고 불리는 차량 입니다.
또는 모델3 리리프레시 라이젠 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기능적인 특징으로는 별명 답게 차량의 미디어칩셋이 인텔 아톰 CPU에서 AMD사의 라이젠으로 변경 되었습니다.
따라서 미디어 성능이 크게 향상 되어 유투브, 넷플릭스, 웹브라우저등의 성능이 강화 되었습니다.
하지만 USS가 삭제 되어 주차시 장애물 감지 능력이 떨어진다는 점을 유의 하세요.
게다가 USS가 없는 차량의 경우 현재에도 스마트 호출이나 자동 주차 등 일부 기능 들이 지원 되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12V 배터리가 납축전지에서 리튬 이온으로 변경 되어 방전으로 부터 보다 안전해졌으며, 전압도 14~15v로 상승했습니다.
추가적으로 와이퍼에 히팅기능이 추가 되었습니다.
주행거리는 롱레인지 신차 기준 578km 입니다. (라이젠 사용으로 인한 전력 소비 증가)
1) RWD 트림 추가 (구 스탠다드레인지 플러스)
모델3 라이젠 차량 부터는 스탠다드레인지 플러스가 삭제 되고 RWD 라는 트림으로 변경 되었습니다.
이름만 변경 된 것이 아니라, 배터리가 LFP (인산철)로 변경 되어 용량이 늘고 안정성과 수명이 향상 되었습니다.
다만 LFP 배터리 특성상 밀도가 낮아 무게가 증가하였기 때문에 가속력과 전비는 하락 하였습니다.
(제로백 6.1초)
RWD 트림 신차 기준 주행거리는 440km 입니다.
* 모델3 라이젠 구매 유의 사항
해외에선 22년 1분기 부터 변경 되었지만 한국에서는 2분기 차량 부터 라이젠 입니다. USS가 삭제 되어 있으므로 초보라면 유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차량 구매에 대한 평가
돈이 있다면 라이젠 차량을 구매 하시는 것이 좋으나, 이 때 금리 사태로 인해 신차 가격이 비쌌던 시기이므로 중고가가 높습니다.
5. 모델3 하이랜드

한국 내에서는 모델3 하이랜드 또는 간편하게 하이랜드 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하이랜드 라는 단어는 신형 모델3의 개발 코드 네임으로 공식 명칭은 업그레이드 된 모델3 입니다.
이제 부터 모델3는 미국산이 아닌 중국산으로만 수입 됩니다.
기능적인 특징으로는 배터리 제조사가 변경 되어 밀도가 하락하였지만 공기저항 성능이 개선 되어 주행거리는 거의 동일 합니다.
또한 2열 승객을 위한 모니터가 추가 되었고, 자율주행을 위한 하드웨어가 바뀌었습니다.
소소하지만 도어와 차량 프레임을 연결 해주는 안전장치가 생겨 측면 충돌 성능도 향상 되었습니다.
또 한국인들이 사랑 하는 옵션인 통풍시트가 추가 되었습니다.
다만 기존에 사용 하던 미쉐린 타이어가 아닌 한국 타이어 아이온 으로 변경 된 점은 아쉬운 부분 입니다.

익스테리어의 변경이 이루어져 전면과 후면 형상이 페이스리프트 되었습니다.
인테리어의 경우 기존 우드&가죽에서 직물 트림으로 변경 되었고, 엠비언트 라이트가 추가 되었습니다.
또한 와이퍼와 기어봉이 삭제 되고 모니터와 핸들로 통합 되었습니다.
핸들 디자인과 기능도 변경 되어 터치식으로 버튼이 작동 하게 됩니다.
추가적으로 실내 콘솔의 디자인이 변경 되었고, 스피커의 개선이 있었습니다.
주행거리는 하이랜드 롱레인지 신차 기준 555km 입니다.

* 모델3 하이랜드 구매 유의 사항
하이랜드 차량 부터 중국에서만 수입 되므로 국내법이 적용 된 오토파일럿을 사용 해야 합니다. 미국산에 비해 불편함이 많으니 유의하세요.
* 차량 구매에 대한 평가
돈이 있다면 차는 항상 신차가 옳습니다. 다만 초기 모델3나 하이랜드나 차량의 기본적인 성능 차이는 크지 않고 소프트웨어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해주기 때문에 예산과 오너의 생활 패턴에 맞춘 차량 구매가 현명 합니다.
최신 테슬라 포스팅
테슬라 펌웨어 업데이트 2024.20 내용 (코너 헤드라이트)
테슬라 모델3 튜닝 및 드레스업 DIY 리스트 (후기 포함)
테슬라 펌웨어 업데이트 2024.14.8 내용 (24년 봄 업데이트)
테슬라 모델Y 연식별 변경 사항 총 정리 (중고차 구매전 필독)
테슬라 모델3 연식별 변경 사항 총 정리 (차량 구매 팁)
12만키로 오너가 말해주는 꼭 알아둘 테슬라 꿀팁 50가지
1 thought on “테슬라 모델3 연식별 변경 사항 총 정리 (차량 구매 팁)”